728x90

computer science 2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프레임 워크 개념 프레임 워크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 개발을 하기 위한 프레임, 뼈대를 제공해줍니다. 전체 동작 방식은 프레임워크가 제공하고 우리는 프레임워크의 일정 부분만 개발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독립을 해서 집을 구했는데 매매가 아닌 전세로 들어가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통제권은 집주인이 쥐고 있어 집에 소파를 놓거나 티비를 놓는 작업은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베란다를 터서 방을 넓힌다거나 벽을 허물고 창문을 설치하는 등의 행위는 할 수 없는 느낌입니다. 즉 통제권은 프레임워크가 쥐고 있고 우리는 허용범위 내에서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프로그래머가 가지고 있던 객체의 제어를 프레임 워크가 대신 해준다는 의미로 제어역전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절차적 프로그래밍 Vs 함수형 프로그래밍 Vs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적 프로그래밍 개념 절차적 프로그래밍은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혹은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이라고도 불립니다. 또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동의어로 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프로시저 호출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뜻합니다. 프로시저는 루틴, 서브루틴, 메서드, 함수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수행되어야 할 계산과정들을 포함하고 있고 아무 위치에서나 호출할 수 있으며 다른 프로시저, 자기 자신에서도 호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징으로는 모듈성이 있는데, 코드의 재사용성이 늘어나고 프로그램의 흐름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입력과 출력 그리고 그 사이의 규칙을 정하여 구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쓰는 함수가 그렇습니다. 또 스코프 개념을 통해 변수를 보호하고 프로시저 사이의 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