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omputerscience 3

아스키 코드 Vs 유니코드 Vs UTF-8

아스키 코드 아스키코드(ASCII)는 128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7비트 부호입니다. 알파벳, 숫자, 특수기호와 컴퓨터에 필요한 몇 가지 문자만 정의되어 있습니다. 출처 - https://velog.io/@exploit017/%EC%95%84%EC%8A%A4%ED%82%A4-%EC%BD%94%EB%93%9C%ED%91%9C 유니코드 점점 여러 나라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니 아스키코드만으로는 문자들을 표현하기 부족해져서 만들어진 코드 체계입니다. 숫자와 글자가 1:1 로 매핑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16비트를 표현해 최대 65536자를 표현 가능하며 영문, 숫자, 한글, 한자 등 모든 글자는 이론적으로 2 바이트를 띄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문자는 2바이트를 초과할수도 있습니다. UTF-8 유니코드를..

명령형 프로그래밍 Vs 선언형 프로그래밍

명령형 프로그래밍 개념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프로그래밍의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의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인데, 쉽게 설명하자면 컴퓨터가 수행할 명령들을 순서대로 써 놓은 것입니다. 즉 '어떻게' 수행할지에 주목하는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번 조금만 더 쉽고 대략적으로 이해해보겠습니다. 어떤 리스트 안에 속한 수들의 합을 구할 때, 아래의 방식으로 for 문을 이용해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반적으로 풀어서 쓴 방식을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nums = [1, 2, 3, 4, 5] sum_nums = 0 for num in nums: sum_nums += num 거의 대부분의 하드웨어들은 기계어를 ..

구조적 프로그래밍 Vs 비구조적 프로그래밍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 구조적 프로그래밍은 절차적 프로그래밍 혹은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이라 불리는 패러다임의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비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장했으며 역사적으로 몇가지 다른 구조화 기법과 방법론이 개발되어왔는데, 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잭슨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다익스트라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다익스트라의 관점에서 파생된 관점 하지만 대부분의 구조적 프로그래밍이라고 말하는 것은 첫 번째를 제외한 둘 중의 하나를 말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는 GOTO문을 없애거나 GOTO문에 대한 의존성을 줄여주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흐름제어를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코드의 가독성이 좋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재사용성도 높습니다. 다익스트라는 Go..

728x90